오피니언/사설53 [사설] 만민교 후신 이희진·이희선, 아무나 목사하는 시대 PD수첩이 방영한 ‘쌍둥이 목사의 비밀 사업’에는 기가 막힌 장면이 나온다.(2023.05.30) 사이비 만민중앙교회 당회장 이재록 등신상에 절을 하는가하면 돌아가신 할머니 장례식에 참여한 신도에게 “주일이 네 날이냐” “독립투사들은 아빠가 죽어도 울지 말고 열심히 나라 지키라고 하고 죽으러 가”라고 폭언을 일삼는 장면이 방영된 것이다. 이들 정체는 만민교 후신으로 거론되는 이희진·이희선이다. 그루밍과 교리를 활용해 신도에게 성폭력을 가한 교주 이재록은 2019년 상습준강간 등 혐의로 기소되어 징역 16년 형을 선고 받았다. 이재록 범죄 행각이 드러나자 교회는 두 개의 계파로 갈라졌다. 이 교주 딸 이수진 당회장 직무대행 계열인 사택파와 쌍둥이파로 알려진 이희진·이희선 계파로 나뉘어 충돌을 빚었다. 두 .. 2023. 5. 30. 23:43 [사설] 마음의 빚을 생각하기까지 비공개 기사입니다. 2022. 11. 21. 23:45 [사설] 이태원 참사 백오십여 생명 앞, 슬픔이 우리를 잠식하지 않기를 29일 밤과 너머 세월호 참사 이후 셀 수조차 없는 많은 이의 생명을 잃었다.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핼러윈을 앞둔 수만 명 사람이 몰리면서 오늘 오전 6시 기준 154명이 깔려 숨지고 149명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2022.10.29.) 2014년 세월호 참사 다음 국내 압사 사고 중 인명피해 규모로 최다였다. ‘한국 속 작은 외국’이란 별명을 가진 도심 이태원에서 일어났다기에 믿을 수 없는 참사다. 경찰과 목격자 증언을 종합하면 해밀톤호텔 옆 폭 3.2m 길이 40m 가파른 골목에서 29일 밤 10시 15분 쯤 몰려든 사람들이 도미노처럼 쓰러지면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사고 현장에서 소방서까지 100m 거리로 멀지 않았다고 하지만 접근이 어려워 구조에 난항을 겪었다. 참사를 막을 수 있었다. 사상자.. 2022. 10. 31. 10:57 [사설] 사람이 죽어서야 투자하는 SPL… ‘무력한 분노’가 느껴지는 이유 20대 노동자가 경기 평택시 SPL 제빵 공장에서 끼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2022.10.15) 혼합기계인 샌드위치 소스 배합 기계에 상반신이 빨려 들어가 그 자리에서 숨졌다. 새벽 6시에 벌어진 일이었다. 덮개를 열면 기계가 자동으로 멈추는 자동방호장치 인터록이 없었다고 한다. 2인 1조 원칙도 지켜지지 않았다. 하루아침에 스물 셋 여성이 숨진 것이다. 2017년부터 지난달까지 빵 재료 업체인 SPL에서 발생한 산업재해 37건 중 40%인 15건은 끼임 사고로 드러났다. 2016년 첫 안전보건공단의 안전보건인증시스템을 받았지만 3년마다 연장되는 인증 시스템에서 지난 5월 검증을 거치지 못했다. 배합기계에 뚜껑과 센서를 장착해야 하지만 인증 연장을 위한 현장조사에선 문제가 없었다고 한다. 사고 발생.. 2022. 10. 22. 14:30 [사설] 일상에 로그인조차 못한 사흘 카카오 ‘블랙아웃’ 15일 오후 3시 30분 판교 데이터 센터에서 발생한 화재로 카카오톡을 비롯한 카카오서비스가 마비됐다.(2022.10.15) 카카오가 운영 중인 블로그 서비스 티스토리 역시 접속 불가능했다. 카카오는 “유례없는 대형사고”라고 말했다. 이로써 대한민국이 작동을 멈추었다. 카카오는 웹툰 뿐 아니라 은행·운송·결제·지도·로그인·포털·검색 등 한국 사회 전반에 서비스를 제공했다. 지도를 열어도 어디인지 찾을 수 없었고, 가게에서 결제하지 못하며 로그인조차 불가능한 일상의 중단을 맞이한 것이다. 서비스는 10시간이 지나서야 일부 복구 됐다. 카카오 서비스 일시 중단 사태는 단순히 지도를 확인하지 못하는 수준이 아니었다. 은행 업무가 필요한 사람들은 제 시간에 송금하지 못했고 결제가 필요한 자영업자는 일당을 날리기.. 2022. 10. 22. 14:30 [사설] 껍데기 종교 기독교, 20년 만에 종언 비공개 기사입니다. 2022. 6. 27. 21:55 [사설] “먼저 어른이 되어야겠다”는 行間 속에서 한국 사회의 문법을 읽기 위해 되짚은 천안함 피격 사건과 세월호 침몰 사고는 대한민국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맞닥뜨리기 어려운 미숙함의 연속이었다. 피하려 해도 피할 수 없고, 도망치고 싶어도 도망칠 수 없는 아픔 속에서 천안함 12주기와 세월호 8주기를 맞고 있는 것이다. 북한에 의한 천안함 피격은 전 세계 얼마 남지 않은 분단국가 대한민국 특수한 상황에서 발생했다. 그럼에도 국가를 위해 희생한 마흔여섯 용사 이후의 삶을 살아가는 생존장병 쉰여덟 명 용사의 삶은 녹록치 않았다. ‘미래의 피해자들은 이겼다’를 집필한 고려대 김승섭 교수는 천안함 피격 사건 생존장병의 아픔을 되짚는 과정에서 군 내부가 낸 상처에 주목했다. 적이 조롱하는 일보다 내부의 사람들이 생존장병을 돌봐주지 않는 배제하고 차별하는 과정에.. 2022. 4. 16. 03:00 [사설] 무책임한 勞動 환경 누구 손으로 끝낼 것인가 비공개 기사입니다. 2022. 4. 14. 03:00 [사설] 윤석열 대통령 당선… 20세기 근대와 작별할 때 윤석열 후보가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대한민국 대통령으로 당선됐다.(2022.03.10) 지난 대선보다 0.1%p 적은 전국 선거인 77.1%(3천400만표)가 투표에 참여했다. 윤석열 후보는 48.5% 이재명은 47.8%로 그 어떤 선거에서도 유례없는 접전이다. 전 국민이 이재명과 윤석열로 갈라진 선거 결과처럼 대선 과정은 서로를 헐뜯는데 혈안이었다. 7시간 통화 내역이 공개되는 상황까지 치닫자 비호감 선거라는 말까지 나올 지경이었다. 서로의 혀를 끌어 잡고 싸운 데에는 미래를 대비하려는 담론(談論)이 부재한 탓이다. 후보들 중 어느 누구 하나라도 인구 문제에 천작한 일이 있는가. 대학구조 조정은 고사하고 연금개혁과 최저임금, 저출생, 부동산 같은 풀기 어려운 고난이도 숙제에 관해서는 외면한 채 서로.. 2022. 3. 10. 07:15 [사설] 기막혀서 할 말이 없다 비공개 기사입니다. 2022. 3. 1. 23:04 이전 1 2 3 4 5 6 다음